플렉스에서는 근무, 휴가, 워크플로우 등 다양한 곳에서 승인 · 참조 대상을 설정할 수 있어요. 순차 승인을 고려하여 조직도를 설정하면 승인 요청자의 ‘주조직’ 기준으로 상위 → 상상위 조직장을 자동으로 찾아 승인이 발생해요.
플렉스의 승인 구조와 승인과 관련되어있는 기능 전반을 소개해드릴게요!
순차 승인
플렉스의 승인 기능을 원활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사 정보 에서 회사 조직을 추가하고
인사 발령 (조직, 직책, 직급, 직무 변경) 을 통해 구성원을 조직으로 발령 내고,
조직장(팀장)분들은 조직장으로 발령을 내주세요!
위 과정을 진행하여 아래와 같은 조직도가 구성되었다고 가정해볼게요.
만약 워크플로우 양식, 근무 및 휴가 승인에 예시 이미지처럼 결재선이 설정되어있다면 구성원이 승인 요청을 발생 시킬 때 아래와 같이 승인 요청이 발생돼요. 단, 여기서 2차 조직장은 1차 조직장의 승인 이후에 승인 요청 알림을 받을 수 있어요.
승인 단계 설정
n차 조직장 : 요청자(기안자)의 n차 조직장을 의미해요. 요청자가 소속되어있는 주조직을 기준으로 요청자별 1차, 2차, 3차 조직장이 달라져요.
조직 : [설정] → [인사정보] → [조직 추가]에서 가장 먼저 추가한 상위 5개 조직을 먼저 노출해요. 그 외 조직을 승인 대상으로 추가하고 싶다면 [조직도 보기]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조직도 보기 : 회사의 모든 조직을 펼쳐 확인할 수 있어요, 하단 [하위 조직 함께 선택] 체크박스 활성 화 시 growth team 모든 하위 조직을 승인 대상자로 포함한다는 뜻이에요.
조직을 승인 대상자로 설정한 경우, 조직 구성원 중 한 명이 승인하면 승인이 최종 처리 돼요.
요청자별 승인 설정
요청자별 승인 기능은 아래와 같은 고민이 있을 때 이용해볼 수 있어요.
'연장 근무 발생 시 1차 조직장의 승인을 받도록 설정했는데…, 조직 위계상 1차 조직장이 대표님인 경우는 어떡하지? 대표님에게는 승인 요청이 가도록 설정하고 싶지 않은데 ..'
상기와 비슷한 고민으로, 기본 결재선과 다른 결재선을 운영하고 싶다면, [요청자별 설정] 이라는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작성자를 선택하여, [조직장이면 HR의 승인을 받는다.] 혹은 [특정 구성원은 HR의 승인을 받는다]로 설정할 수 있어요.
참조 대상 설정
참조 대상자에게 [알림 보냄]으로 설정한다면, 승인 요청이 올라왔을 때 승인이 완료되었을 때 각각 알림을 보내드리고 있어요. [승인이 완료된 문서] 경우에는 알림과 메일을 같이 보내요.
자동 진행 설정
자동 진행 설정 기능은 아래와 같은 고민이 있을 때 이용해볼 수 있어요.
'1차 조직장 승인 후 대표님의 승인을 받도록 처리했는데, 대표님이 바쁘셔서 늦게 승인 처리가 되면 어떡하지? '
FAQ
승인 외 합의나 협조 기능은 없나요?
승인 외 합의나 협조 기능은 없나요?
커스텀 라벨 기능을 통해 합의, 협조 등 다양한 결재 분류를 추가할 수 있어요 관련해서 자세한 사항은 우측 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 커스텀 승인 라벨 가이드 바로가기
1단계에 승인자를 여러명 추가하면 같은 단계에 있는 승인자 중 한 명만 승인을 해도되나요?
1단계에 승인자를 여러명 추가하면 같은 단계에 있는 승인자 중 한 명만 승인을 해도되나요?
승인 N 단계에 홍길동, 홍길순이 승인자로 있다면 홍길동과 홍길순 승인자가 각각 승인을 진행해야 다음 승인 단계로 넘어가거나 최종 승인돼요.
1단계에 경영지원팀과 같이 [조직]을 승인자로 설정한 경우 경영지원팀 내 구성원 중 한 명만 승인해도 다음 단계로 넘어가나, 같은 단계에 승인자가 여러명이라면 같은 단계에 있는 모든 승인자가 승인을 완료해야해요.
조직장이 장기 휴가 또는 휴직을 간 경우, 해당 조직장에게 승인 요청(알림)이 발송되나요?
조직장이 장기 휴가 또는 휴직을 간 경우, 해당 조직장에게 승인 요청(알림)이 발송되나요?
현재 플렉스 경우 장기 휴가 및 휴직을 간 조직장에게 승인 요청(알림)이 발송돼요.
이에 따라 장기 휴가 또는 휴직을 간 조직장이 있을 경우 해당 조직의 조직장을 다른 조직장으로 변경해주시거나, [요청자별 승인설정]을 통해 특정 조직, 구성원은 장기 휴가 및 휴직을 간 조직장이 아닌 다른 분에게 승인 요청이 갈 수 있도록 관리자가 설정을 변경해주세요.